티스토리 뷰
오십견의 정의
오십견(동결견 또는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 함)은 특별한 외상 없이 어깨에 통증이 발생하고 그 통증으로 인하여 어깨의 움직임에 지장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50대에 생긴다고 오십견으로 불리었지만, 사실 나이와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30~40대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오십견이 생기는 원인
오십견의 원인은 불분명합니다. 주로 노화 및 운동부족과 연관이 있습니다. 노화에 따라 어깨관절 주위의 연부 조직이 퇴행성으로 변화하여 오십견이 생깁니다. 당뇨병, 갑상선 질환, 장시간 같은 자세로 근무하는 직업군에서도 발생 위험이 큽니다. 이 외에 어깨관절의 부상을 경험했거나 입원 등으로 인해 장기간 어깨관절을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도 오십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간혹 특별한 원인이 없을 때도 발생하기도 합니다.
오십견에 따른 증상
1. 심한 통증 및 야간 통증
오십견에서만 나타나는 특이한 증상은 아닙니다. 다른 어깨 질환에서도 보입니다.
2. 능동적, 수동적 관절 운동 제한
처음에는 어깨를 안쪽으로 돌리기 힘듭니다. 이후에는 팔을 앞으로 들거나 밖으로 돌리기 힘듭니다. 예를 들어서 세수하거나 머리를 감을 때 목덜미를 만지는 행동, 머리를 빗는 행동, 블라우스 뒤의 단추를 끼우는 행동 등을 하기 어렵습니다.
오십견의 증상 발현 기간 및 양상에 따른 3기 구분
1. 제1기 (통증기)
처음 증상으로부터 약 3개월 정도 지속됩니다. 통증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스스로 어깨를 움직이는 능동적 관절 운동에 제한이 생깁니다. 어깨를 움직이지 않을 때에도 통증을 호소합니다. 특히 밤에 심해져 숙면을 방해합니다.
2. 제2기(동결기)
3개월에서 12개월까지의 기간을 말합니다. 어깨를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을 때의 통증은 완화됩니다. 만성 통증과 함께 수동적 관절 운동 범위가 심각하게 제한됩니다.
3. 제3기(해빙기)
12개월에서 18개월 또는 그 이상의 기간을 말합니다. 통증은 아주 경미합니다. 관절운동과 관련되는 경우에 통증이 나타납니다. 이 시기에 심하게 제한된 어깨관절 범위를 극복하려고 할 때 통증이 발생합니다. 이 기간의 말기에는 통증 없이도 관절 운동의 범위가 늘어난 것을 느낍니다. 그러나 객관적으로 운동 범위가 완전히 회복되는 것은 아닙니다. 완전한 회복에는 개인차가 있습니다. 치료 없이 방치하면 어깨 기능을 원래만큼 충분히 회복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꾸준한 치료와 재활이 필요합니다.
진단
오십견의 진단은 임상 증상, 간단한 운동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는 대부분 정상 소견을 보입니다. 방사선 사진은 어깨관절 연골의 소실, 견관절의 탈구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 촬영합니다. 모든 오십견에 대해 수술을 시행하는 것은 아닙니다. 정확한 진단을 병원에 방문하셔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
오십견의 초기에는 진통소염제, 국소 주사, 물리치료 등을 이용해 통증과 염증을 감소시키며, 운동 요법으로 굳어진 어깨관절의 운동 범위를 회복시킵니다. 수술은 장기간의 치료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에 시행합니다.
오십견의 원인에 따른 치료 방법
1. 테니스, 수영 야구 등과 같은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어깨를 움직여 발생한 경우
- 소염제 복용, 냉찜질이나 온찜질, 전기 자극을 시행합니다. 어깨관절을 과도하게 바깥으로 올리거나 돌리는 운동을 피하고, 어깨를 돌리는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합니다.
2. 힘줄의 석회화에 의하여 발생한 경우
- 냉찜질, 소염제 복용, 리도카인과 스테로이드를 혼합한 주사를 병변 부위에 놓는 치료 등을 시행합니다. 통증이 감소하면 관절이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범위 내의 운동을 해야 합니다.
3. 관절 주머니의 유착에 의해 발생한 경우
- 온열 요법, 수동적, 능동적으로 적당한 범위 내의 어깨 운동, 목과 어깨의 등척성 강화 훈련, 시계추 운동, 손가락 벽 기어오르기 운동이 효과적입니다. 시계추 운동이란 선 상태에서 얼굴을 바닥에 향하게 하여 아픈 팔을 늘어뜨리고, 팔을 시계추처럼 왔다 갔다 하는 운동입니다.
오십견은 지속적으로 치료하면 얼마든지 좋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회복되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리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정확한 진찰과 꾸준한 운동 요법 등을 통해 지속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치료가 끝났다고 해도 어깨를 많이 쓴 날에는 온찜질과 스트레칭을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